| 2025 |
학술연구지원사업-중개연구 |
홍성노 |
성균관의대 |
염증성 장질환의 점막 치유 실패 기전 규명을 위한 장상피세포의 체세포 돌연변이 탐색과 체세포 돌연변이 기반 염증성 장질환 질병 모델 구축
|
| 2025 |
학술연구지원사업-다기관연구 |
박용은 |
인제의대 |
다발성 및 고위험 대장용종의 장기 예후 및 추적관찰 전략: 다기관 코호트 연구
|
| 2025 |
학술연구지원사업-다기관연구 |
황성욱 |
울산의대 |
휴대형 장초음파를 이용한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질병 모니터링 및 예후 예측: 다기관 전향적 코호트 연구 (IBD 연구회) |
| 2025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일반) |
권태근 |
가톨릭의대 |
대장정결도 평가 지표 개발: 한미 공동 연구
|
| 2025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일반) |
이한희 |
가톨릭의대 |
생물학적제제 사용 경험이 없는 크론병 환자에서 첫 치료로 항TNF제제 또는 ustekinumab 선택에 따른 장기 예후 연구
|
| 2025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현혜경 |
연세의대 |
종단적 마이크로바이옴 변화의 분석을 통한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치료 예후 분석
|
| 2025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김상현 |
고려의대 |
인공지능 기반 광간섭단층촬영 (OCT) 직장 내시경: 궤양성 대장염의 조기 진단 및 치료 모니터링을 위한 비침습적 플랫폼 개발
|
| 2025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백동훈 |
부산의대 |
직장 및 대장 점막내암 내시경 완전절제 후 추적관찰 간격과 중간 내시경 및 CT 검사 경향 분석: 다기관 연구
|
| 2025 |
우덕연구비 |
김경옥 |
연남의대 |
대변 사진 딥러닝 분석을 통한 장정결상태의 예측
|
| 2025 |
우덕연구비 |
김슬지 |
원자력병원 |
C. difficile PCR 양성/Toxin 음성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장내 미생물 및 대사체 분석: 임상적 의의와 치료 표적 탐색
|
| 2025 |
봉화(鳳華)연구비 |
박예현 |
이화의대 |
비만치료제가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장내세균총 및 대사체에 미치는 효과 분석: 다기관 전향적 코호트 연구 (IBD 연구회) |
| 2024 |
학술연구지원사업-중개연구 |
예병덕 |
울산의대 |
단일세포 유전자발현 분석을 통한 크론병 환자 소장의 공간적 이질성 및 면역 미세환경 분석 |
| 2024 |
학술연구지원사업-기획연구(다기관연구) |
나수영 |
가톨릭의대 |
경증-중등도 궤양성 대장염에서 관해 유도를 위한 고용량 경구 MMX 메살라민(Mezavant®, 1200 mg)과 산도 의존 방출형 메살라민(Asacol®, 1600 mg)의 효과에 대한 전향적, 다기관, 오픈 라벨, 무작위 비교 연구 |
| 2024 |
학술연구지원사업-기획연구 |
천재희 |
연세의대 |
공간 전사체 분석을 이용한 염증성 장질환의 유형 및 치료 반응에 따른 종단적 조직 변화의 탐색을 통한 진단 및 치료 바이오마커의 발굴 |
| 2024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일반) |
홍승욱 |
울산의대 |
린치 증후군에서의 대장 신생물 발생률 및 적절한 감시 대장내시경 간격 |
| 2024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일반) |
김광우 |
서울의대 |
염증성장질환 환자의 임상 경과에 환경 요인이 미치는 영향 분석 |
| 2024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김슬지 |
원자력병원 |
iRhom2 의 면역-장신경-장내미생물 상호작용을 통한 장관 운동 조절 기전 분석 |
| 2024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이은주 |
연세의대 |
항-TNF 치료 중 항약물 항체가 발생한 염증성장질환 환자에서 구강 대변 미생물 이식의 영향: 항-TNF에 대한 보조 요법으로서의 FMT의 잠재력 |
| 2024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오창교 |
한림의대 |
대장용종절제술의 완전절제율을 높이기 위한 인공지능 연구(장종양연구회) |
| 2024 |
우덕연구비 |
이승범 |
울산의대 |
급성 위장관 이식편대숙주병에서 분변 검체를 이용한 표적 마이크로바이옴 발굴 |
| 2024 |
우덕연구비 |
김재현 |
고신의대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Th17/Treg 세포 면역에 미치는 영향과 대장 폴립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 2024 |
봉화(鳳華)연구비 |
차재명 |
경희의대 |
CDM 자료로 변환된 심사평가원 청구 자료를 이용하여 염증성장질환 환자에서 생물학적 제재 및 소분자 물질 치료제의 임상성적 및 위해 분석연구 |
| 2023 |
학술연구지원사업-중개연구 |
송은미 |
이화의대 |
비유전성 다발성 대장 선종 환자의 비만도,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특성 및 임상 예후와의 연관성 분석 |
| 2023 |
학술연구지원사업-다기관연구 |
박상형 |
울산의대 |
아시아 국가들의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서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의 역학: 다국적 다기관 후향적 연구 |
| 2023 |
학술연구지원사업-다기관연구 |
이유진 |
계명의대 |
염증성 장질환에서 바이오시밀러 단일클론항체 처방의 실제 및 인식: 다기관 설문조사연구 |
| 2023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일반) |
전성란 |
순천향의대 |
기구보조소장내시경 도입 후 소장종양 발생률 및 사망률의 시간경향 분석 |
| 2023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일반) |
최창환 |
중앙의대 |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서 암 발생의 양상 변화: 국가 인구 기반 연구 |
| 2023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김동현 |
전남의대 |
국내 급성 중증 궤양성 대장염의 임상양상 분석 : 전향 전국 코호트 |
| 2023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박용은 |
인제의대 |
10년 이상의 유병기간을 가진 국내 IBD 환자의 진단 시기에 따른 임상양상 및 예후 |
| 2023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송주혜 |
성균관의대 |
조기대장암에서 종양 모양과 점막하 침윤 깊이에 따른 림프절 전이 예측 인공지능 모델 개발 |
| 2023 |
우덕연구비 |
박지혜 |
연세의대 |
베체트 장염에서 질병활성도 평가 지표 및 예후 예측 인자로서 Leucin Rich a-2 glycoprotein 역할 검증 |
| 2022 |
학술연구지원사업-중개연구 |
박수경 |
성균관의대 |
가족성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코호트 구축 및 유전적 , 장내미생물의 특징분석 |
| 2022 |
학술연구지원사업-기획연구(국제공동연구) |
권태근 |
가톨릭의대 |
대장용종 절제를 받는 환자에서 항혈소판제 및 항응고제 중단에 대한 설문연구 |
| 2022 |
학술연구지원사업-기획연구(국제공동연구) |
김은수 |
경북의대 |
아시아인의 급성 중증 궤양성 대장염의 임상적 특징, 치료 및 임상 경과에 대한 다기관 연구 |
| 2022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일반) |
오신주 |
경희의대 |
항혈전제 복용 환자에서 저온 및 고온 내시경 점막 절제술 간 출혈률 비교: 다기관 무작위 대조 연구 |
| 2022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일반) |
천재영 |
연세의대 |
타액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심리적 고통과 염증성 장질환의 질병 활성도 및 재발 간의 상관관계 |
| 2022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김지은 |
성균관의대 |
Mayo endoscopic score 0 또는 1인 궤양성대장염환자 코호트에서 딥러닝을 통한 조직학적 활성도 평가가 내시경적 관해 유지에 미치는 영향 |
| 2022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문정민 |
중앙의대 |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장상피세포 유래 microRNA 발현에 따른 질병의 예후 및 치료 반응 예측 인자 발굴 |
| 2022 |
학술연구지원사업-자유연구(신진) |
신종범 |
인하의대 |
대변미생물총 이식술(FMT)에서 이식용 대변의 해동 방법이 Clostridioides difficile infection (CDI) 치료 효과와 마이크로바이옴 특성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
| 2022 |
우덕연구비 |
박수정 |
연세의대 |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숙주와 장내 미생물간의 상호작용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