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보완대체요법, 민간요법

대한장연구학회 작성일 : 2024-06-18 조회수 : 105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입증한 연구가 부족하고 특히 염증성 장질 환 환자군에서 효과 연구가 부족하며, 일부 연구가 있어도 연구 참여 환자수가 매우 적거나, 적절한 대조군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부적절한 연구 설계로 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연구 결과 보 고 후 실제 임상에서 후속 연구 미비, 기존의 염증성 장질환 약제와의상호작용 연구 미비 등의 이유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염증성 장질환에서 연구가 이루어진 몇 가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소개하려 한다. 유산균, 강황, 오메가3, 청 대(Indigo Naturalis, 칸포), 그 외 침, 뜸, 정신신체요법, 운동에 대해 알 아보고자 한다.

① 프로바이오틱스

염증성 장질환에서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는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에서 모두 연구가 이루어졌고, VSL#3이라는 4가지 유산균 (Lactobacillus)과 3가지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 1가지 연쇄구균 (Streptococcus thermophiles) 균주의 조합이 연구에 주로 사용되었다. 경증 활동도 및 중등도 활동도의 궤양성 대장염에서 E.coli Nissle 1917 과 VSL#3는 관해 유도 및 임상 증상의 호전, 내시경활성지수의 호전에 유의한 효과를 입증하였다. 크론병에서는 연구마다 결과가 상이하나 2019년 유럽 권고안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② 강황(Tumeric; curcumin)

강황, 심황, 울금은 동 인도산의 생강과에 속하는 식물인 Curcuma longa Linn의 뿌리에서 추출된 폴리페놀 성분의 노란색 향신료로, 항 종양,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산화에 의한 DNA손상 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재료 또는 약제로 쓸 때에는 뿌리 줄기를 강황, 덩이뿌리를 울금이라 부른다. 강황의 효과가 궤양성 대 장염 환자에서 연구된 바 있고 50명의 활동성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1:1로 curcumin 3g/day 와 위약군으로 이중 맹검 무작위 배정하여 아미 노살리실산과 병용 투여했을 때 curcumin 치료 군이 4주 후 임상적 관 해 및 반응, 내시경적 관해 및 호전 반응이 모두 유의하게 우월함을 입 증하였다. 유지치료에서도 89명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 대상 연구에서 curcumin 투여군이 관해 유지에 더 우월함을 보였다. 따라서 강황은 경증 활동도 및 중등도 활동도의 궤양성 대장염의 관해 유도 및 유지 에 아미노살리실산과 더불어 사용할 수 있는 보완요법으로 권유해 볼 수도 있다.

③ 오메가3

피쉬오일(Fish oil)인 오메가3 지방산은 기름기가 많은 어류의 조직 에서 뽑아낸 기름으로, 크론병의 관해유지요법에서 이중 맹검 무작위 배정 연구결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또한 비 활동성 궤양성 대장염(quiescent ulcerative colitis)에서 관해 유지 효 과를 비교하였을 때에도 유의한 효과를 입증하지 못하여, 현재까지는 염증성 장질환에서 오메가3의 보완대체요법으로써 효과는 근거가 부족하다.

④ 청대(Indigo Naturalis, 칸포)

청대(Indigo Naturalis)는 전통 중국 의학에서 사용하는 약초 추출물 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aryl hydrocarbon)의 리간드를 함유하고 있다. 이는 IL-22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점막 재생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 져 궤양성 대장염에서 점막 치유의 효과가 기대되었다. 이중 맹검 위약 대조군 무작위 배정 연구에서 86명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무작위 배 정하여 관해 유도 효과를 확인하였을 때 효과가 입증되었고, 청대를 투 여한 치료군에서 장내 미생물의 군집 변화가 건강 대조군의 구성과 유 사하게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해당 연구는 청대 치료 경험이 있는 1명에서 폐동맥 고혈압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되어 조기 종료되 었고, 자의로 13개월 동안 6 g 이상의 청대를 복용하여 해당 부작용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 약제 중단 후 가역적으로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 외 간기능 이상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어, 장기간 및 고용량 사용이 자제되어야 하고 안전성에 대한 후속연구가 확립될 때까지 자의 사용 및 무분별한 사용은 지양되어야 하겠다.

⑤ 침, 뜸

침 및 뜸 요법은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보완대체요법으로, 경증 활 동도 및 중등도 활동도 크론병을 대상으로 한 작은 규모의 무작위 배정 연구가 있었다. 해당 연구에서 침 및 뜸 치료군에서 크론병 질 병활성도가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침술 치료군 1명에서 혈종 (hematoma), 뜸 치료군 1명에서 경도 화상이 부작용으로 보고되었다. 침 또는 뜸 치료가 활동성 염증성 장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객관적 증거는 아직까지는 미비하다 볼 수 있겠다.

⑥ 정신신체요법

인지치료, 이완 프로그램, 정신역동학적 치료, 최면, 요가 등이 이에 해당되며,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서 삶의 질 증진 및 정신적 상태 개선 의 효과가 있고 비교적 안전하다. 하지만 활성화된 염증 상태에 직접 적인 효과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⑦ 운동

운동은 환자의 삶의 질과 연관되어 있고, 전반적인 신체 건강, 스트 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염증성 장질환에서 예방효과 또는 질병 자체를 조절하는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