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한 성생활을 성과 관련하여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의 상태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중요한 심리사회적 요인으로서 인간의 전체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건강한 성생활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염증성 장질환의 특성에 맞게 여성과 남성 각각에서 질병
에 특화된 성기능 지수가 개발되어 소개되었고, 염증성 장질환 환자 남녀 모두 성기능 부전이 일반인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다고 보고되었다.
(1)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성기능은 다차원적인 문제로, 최근 연구에서 성기능 장애는 불안, 우울감, 손상된 삶의 질, 피로감과 관련이 있지만 질병 활성도 자체와는 관련이 없었다. 또한, 우울감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정신사회적 요인이 질병 활성도 보다 성기능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울감과 불안은 염증성 장질
환에서 빈번한 심리적 문제로 성기능 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감은 관해 상태인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20~30%에서, 불안은 10~30%에서 나타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심리적 부담은 성기능 장애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반대로 성기능 장애로 인해 가중될 수도 있다. 기존 문헌에서 염증성 장질환 약물의 대다수는 성기능 장애에 매우 제한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향정신성의약품과 같은 다른 약물은 성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테로이드 또한 성기능 장애와 연관되어 있었는데 이는 신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때문일 수 있다.
(2) 건강한 성생활을 위한 관리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건강한 성생활을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성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치의, 전문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병의원에서 만나는 의료진에게 질병자체 뿐 아니라 불안과 우울감,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복용하고 있는 향정신성의약품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문제가 있을 경우 의료진들과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피로감과 삶의 질 저하 정도 등 심리 사회적인 문제와 성기능 부전 등에 대하여 대화하는 것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필요한 경우에 비뇨의학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와 같은 해당 전문가와 더 심도 깊게 상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강한 성생활을 영위하고 삶의 질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